맨위로가기

네레이드 (위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레이드는 1949년 제러드 카이퍼에 의해 발견된 해왕성의 위성이다. 해왕성을 순행 방향으로 공전하며, 궤도 이심률이 커서 궤도가 특이하다. 평균 반지름은 약 170km이며, 보이저 2호가 탐사한 유일한 위성이다. 표면은 회색을 띠며, 물 얼음이 검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9년 발견한 천체 - 4001 프톨레마이오스
    플로라족에 속하는 S형 소행성 4001 프톨레마이오스는 소행성대 내부 주띠에서 태양을 공전하며 약 3년 6개월 주기로 돌고, 2세기 그리스-로마 천문학자 클라우디우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그의 알마게스트는 오랫동안 천문학계를 지배했다.
  • 1949년 발견한 천체 - 하인드 변광 성운
    하인드 변광 성운은 NGC 2261로도 불리며 별 R에서 나오는 빛을 반사하여 밝기와 모양이 변하는 독특한 '부채꼴' 모양의 변광 성운이다.
  • 해왕성의 위성 - 네소 (위성)
    네소는 2002년에 발견되어 S/2002 N 4로 명명되었다가 2007년에 네레이스 중 한 명의 이름을 따 명명된 해왕성의 불규칙 위성이다.
  • 해왕성의 위성 - 프사마테 (위성)
    프사마테는 해왕성의 불규칙 위성 중 하나로, 역행 궤도를 돌며 약 25년의 공전 주기를 가지고 해왕성에서 멀리 떨어진 궤도를 공전하고, 지름은 약 38km로 추정된다.
  • 불규칙 위성 - 카르포 (위성)
  • 불규칙 위성 - 테미스토 (위성)
    테미스토는 1975년 발견 후 소실되었다가 2000년 재발견되어 명명된 목성의 불규칙 위성으로, 히말리아 그룹과 갈릴레이 위성 사이에 독립적인 궤도를 가지며, 지름 약 8km의 어두운 표면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네레이드 (위성)
기본 정보
보이저 2호가 촬영한 네레이드
보이저 2호가 촬영한 네레이드
명칭네레이드
천체 명칭Neptune II
명명 유래Νηρηΐδες Nērēḯdes
형용사네레이드적인 또는 네레이데스적인 (둘 다 )
발견1949년 5월 1일
발견자제럴드 P. 카이퍼
궤도 정보
모행성해왕성
궤도 기준일2020년 1월 1일 (JD 2458849.5)
관측 호|days|years}}
궤도 이심률0.749
평균 근점 이각318.0°
평균 운동/ 일
궤도 경사각5.8°
}}
승교점 경도326.0°
근일점 인자290.3°
물리적 특성
납작률≤0.23
질량()
평균 밀도1.5 g/cm3 (추정)
자전 주기시간
표면 중력≈ m/s2 ()
알베도0.24
겉보기 등급19.2
절대 등급4.4
표면 온도≈50 K (평균 추정)
기타 정보
평균 공전 속도0.934 km/s (최고 2.95 km/s, 최저 0.42 km/s)
궤도 경사각32.55° (해왕성의 적도면 기준)
자전 주기0.48일 (11시간 31분)

2. 발견과 명명

1949년 5월 1일, 미국의 천문학자 제러드 카이퍼가 맥도널드 천문대에서 82인치 망원경을 사용하여 사진 건판을 통해 네레이드를 발견했다.[27]

네레이드 발견자 제러드 카이퍼
카이퍼는 발견 보고서에서 'Neptune II'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며, 그리스 신화 속 바다의 요정 네레이데스(Nereids)에서 따온 '네레이드(Nereid)'라는 이름을 제안했다.[7] 네레이드는 트리톤에 이어 두 번째로 발견된 해왕성의 위성이며, 보이저 2호가 도착하기 전까지 확인된 마지막 위성이었다.[11] 다만, 라리사는 1981년 엄폐 관측으로 발견되었으나, 보이저 2호에 의해 재발견되기 전까지 위성으로 확정되지 않았다.

3. 궤도와 자전

네레이드는 해왕성을 순행 방향으로 공전하며, 평균 거리는 약 5513787km이다. 하지만 궤도 이심률이 0.7507로 매우 커서 극단적인 타원 궤도를 그리며, 해왕성에 가장 가까울 때는 약 1372000km, 가장 멀 때는 약 9655000km까지 멀어진다.[23][24] 이러한 특이한 궤도는 네레이드가 해왕성에 포획된 소행성이나 카이퍼 대 천체이거나, 트리톤 포획 시 궤도 교란을 겪은 해왕성의 내부 위성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8][12] 후자의 경우, 네레이드는 해왕성의 원래 (트리톤 포획 이전) 정칙 위성 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위성일 수 있다.[4]

네레이드의 해왕성을 도는 높은 이심률 궤도.


1991년 광도곡선 분석을 통해 네레이드의 자전 주기가 약 13.6시간으로 측정되었다.[29][13] 2003년에는 약 11.52 ± 0.14 시간의 자전 주기가 측정되었다.[26][10] 하지만 이 측정 결과는 나중에 논란이 되었고, 다른 연구자들은 지상 관측으로 네레이드의 광도곡선에서 주기적인 변화를 감지하는 데 실패했다.[14] 2016년, 케플러 우주 망원경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11.594 ± 0.017시간의 명확한 자전 주기가 결정되었다.[19]

4. 물리적 특성

네레이드는 해왕성의 위성 중 트리톤프로테우스에 이어 세 번째로 크며, 평균 반지름은 약 170km이다. 불규칙 위성 중에서는 상당히 큰 편에 속한다.[25]

정확한 형태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1987년 이후 관측된 광도 변화는 네레이드의 자전이 불규칙하거나 세차 운동을 하고 있음을 시사했었다. 그러나 2016년 케플러 및 스피처, 허셜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네레이드는 크게 길쭉한 모양이 아니며, 표면 거칠기가 높고 크레이터가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19]

네레이드의 CG 이미지.


네레이드의 스펙트럼은 회색을 띠며,[31] 표면에서 얼음이 검출되었다.[28] 스펙트럼은 천왕성의 위성 티타니아움브리엘과 유사하며, 외태양계 소행성인 폴루스, 키론, 카리클로와는 다르다.[28] 이는 네레이드가 포획된 천체가 아니라 해왕성 주변에서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28] 비슷한 색을 가진 할리메데는 네레이드의 파편일 가능성이 제기된다.[31]

5. 탐사

보이저 2호는 네레이드를 탐사한 유일한 탐사선이다. 보이저 2호는 1989년 4월 20일부터 8월 19일까지 네레이드에 4700000km까지 접근하여 83장의 이미지를 획득했다.[32][33] 관측 정밀도는 70km에서 800km였다.[33]

보이저 2호가 방문하기 전에는 지상 관측을 통해 네레이드의 밝기와 궤도 요소만 알 수 있었다.[34][18] 보이저 2호의 관측으로 네레이드의 크기를 측정하고, 표면이 회색이며 해왕성의 다른 작은 위성들에 비해 높은 반사율(알베도)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했다.[35][11] 그러나 보이저 2호가 보내온 사진은 네레이드의 표면에서 무언가를 식별하기에는 해상도가 부족했다.

참조

[1] OED Nereid
[2] OED nereidian, nereidean
[3] 웹사이트 Outer Moons of Saturn https://tilmanndenk.[...] Tilmann Denk 2024-02-25
[4] 논문 Orbits and resonances of the regular moons of Neptune 2020-03-01
[5] 논문 Concept of operations for the Neptune system mission Arcanum 2024-01-01
[6] arXiv An L-class Multirole Observatory and Science Platform for Neptune 2021-01-01
[7] 논문 The Second Satellite of Neptune 1949-08-01
[8] 웹사이트 Planetary Satellite Mean Orbital Parameters http://ssd.jpl.nasa.[...] JPL (Solar System Dynamics) 2011-10-26
[9] 웹사이트 Planetary Satellite Physical Parameters http://ssd.jpl.nasa.[...] JPL (Solar System Dynamics) 2011-10-26
[10] 논문 The Short Rotation Period of Nereid 2003-01-01
[11] 논문 Voyager 2 at Neptune: Imaging Science Results https://zenodo.org/r[...] 1989-01-01
[12] 논문 Detection of Water Ice on Nereid 1998-12-01
[13] 논문 The rotation period of Nereid 1991-01-01
[14] 논문 Nereid: Light curve for 1999–2006 and a scenario for its variations 2008-01-01
[15] 논문 Photometry of Irregular Satellites of Uranus and Neptune 2004-09-20
[16] 서적 Exploring the Planets https://archive.org/[...] W.H. Smith 1991-01-01
[17] 논문 Triton and Nereid astrographic observations from Voyager 2 1991-01-01
[18] 웹사이트 PIA00054: Nereid http://photojournal.[...] NASA 1996-01-29
[19] 논문 Nereid from space: Rotation, size and shape analysis from K2, Herschel and Spitzer observations https://academic.oup[...] 2016-04-01
[20] 간행물 M.P.C. 115892 https://minorplanetc[...] Minor Planet Center 2019-08-27
[21] 서적 オックスフォード天文学辞典 朝倉書店
[22] 웹사이트 太陽系内の衛星表 https://www.kahaku.g[...] 국립과학박물관 2019-03-09
[23] 웹인용 Planetary Satellite Mean Orbital Parameters http://ssd.jpl.nasa.[...] JPL (Solar System Dynamics) 2011-10-26
[24] 논문 The Orbits of the Neptunian Satellites and the Orientation of the Pole of Neptune 2009-04-03
[25] 웹인용 Planetary Satellite Physical Parameters http://ssd.jpl.nasa.[...] JPL (Solar System Dynamics) 2011-10-26
[26] 논문 The Short Rotation Period of Nereid
[27] 논문 The Second Satellite of Neptune 1949-08-01
[28] 논문 Detection of Water Ice on Nereid 1998-12-01
[29] 논문 The rotation period of Nereid
[30] 논문 Nereid: Light curve for 1999–2006 and a scenario for its variations
[31] 논문 Photometry of Irregular Satellites of Uranus and Neptune 2004-09-20
[32] 서적 Exploring the Planets https://archive.org/[...] W.H. Smith
[33] 논문 Triton and Nereid astrographic observations from Voyager 2
[34] 웹인용 PIA00054: Nereid http://photojournal.[...] NASA 1996-01-29
[35] 논문 Voyager 2 at Neptune: Imaging Science Resul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